이제는 마케터도 CMS에 능숙해야 하는 시대
예전과 다르게 마케터라고 해서 마케팅 기획이나 미디어 운영에만 집중하는 시대가 저물어 가는 것 같습니다.최근 노코드의 인기 함께 소프트웨어를 제작하는 다양한 툴들이 업데이트 되면서 콘텐츠를 만드는일이 예전에 비해 매우 간편해 졌습니다.국내 상황은 글로벌에 비해 워드프레스(WordPress)와 같은 CMS (Content Management System)의 사용이 더디지만,이제 국내도 서서히 노코드를 활용한 CMS의 사용률이 높아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요즘 유행하는 CMS는 대부분 마우스로 당겨서 진행하는,
'드로그 앤 드롭 (Drag-and-drop)'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어서 전문적인 디자이너나 개발자가 아니더라도 웹구현을 하기가 편리해진 시대입니다.
'드로그 앤 드롭 (Drag-and-drop)'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어서 전문적인 디자이너나 개발자가 아니더라도 웹구현을 하기가 편리해진 시대입니다.
허브스팟 CMS vs 워드프레스 요약비교
아래의 비교표는 제가 개인적으로 2개의 CMS를 모두 사용해본 후기를 적어보았습니다.
해당 자료는 주관적으로 평가한 자료임을 고려 하시어 참고해 주시면 도움이 되실 것 같습니다.
비용
기업에서 사용하는 CMS라면 사실 비용은 크게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생각합니다.워드프레스의 경우 무료로 제공되기는 하지만 실상 무료라고 보기에는 어려운 것이 워드프레스를 지탱해주는 중요한 플러그인(Plug in)들은,대부분 유료로 제공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단순히 시작하는 가격으로 비교하기에는 애매한 부분이 있습니다.
워드프레스는 무료로 시작 할 수 있지만 플러그인 선택에 따라 유료로 결제해야 하는 부분이 많이 생깁니다.그리고, 허브스팟에서 제공하는 CMS 허브도 비용없이 무료 버전을 사용 할 수 있습니다.따라서, 비용부분에서 워드프레스가 약간 우위에 있기는 하지만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따라서 다르다고 생각합니다.다만, 전체 기능을 모두 사용 할 수 있는 CMS 허브의 경우 월 300달러 정도의 구독료가 발생합니다.
확장성
확장성 부분에서는 조금 차이가 있을 것 같습니다. 아시다시피 워드프레스의 확장성은 거의 '무한'이라고 보아도 무관 할 것 같습니다.왜냐하면, 전세계에서 가장 많은 플러그인 (Plug in)을 활용 할 수 있는 CMS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어느정도 인지도가 있는 마케팅 소프트웨어라면 반대로 워드프레스와 연동이 안되는 소프트웨어를 찾기가 더 어려울 정도입니다.다만, CMS 허브에서도 앱 마켓플레이스가 있지만 그 범위가 워드프레스의 플러그인에 비해서는 협소한 것이 현실입니다.
워드프레스에서 제공하는 플러그인들을 검색해보면 거의 없는 것이 없습니다.
따라서, 어느정도 인지도가 있는 마케팅 소프트웨어라면 반대로 워드프레스와 연동이 안되는 소프트웨어를 찾기가 더 어려울 정도입니다.
워드프레스에서 제공하는 플러그인들을 검색해보면 거의 없는 것이 없습니다.
'Hubspot' app marketplace
'wordpress' plug in
검색엔진 최적화 (SEO)
CMS에서 정말 중요한 부분은 검색엔진최적화(Search Engine Optimization)입니다.마케팅에 있어서 양질의 오가닉 트래픽은 마케팅에 정말 많은 도움을 줍니다. 일반적으로 워드프레스 웹페이지는 구글 SEO가 잘된다고 알려져 있고,또, 실제로 경험해본 결과 워드프레스 웹페이지의 경우 구글에 잘 노출이 되기도 합니다.
그런데, 2개의 CMS를 모두 사용해본 입장에서 리뷰해 보자면 구글 SEO는 허브스팟 CMS에서 조금 더 유리한 것 같습니다.사실, SEO는 콘텐츠의 품질이 가장 중요하기 때문에 플랫폼의 기능제공 여부에 따라서 비교를 하는 것이 애매하기는 합니다.
다만, 워드프레스에서는 SEO최적화를 하기 위해서 '요스트 SEO'라는 별도의 플러그인을 활용하지만,허브스팟에서는 그럴 필요 없이 자체 플랫폼에 내장되어 있는 기능을 사용하면 됩니다.싸이트맵의 경우에도 허브스팟의 경우 CMS에 탑재된 기능을 통하여 자동으로 생성해주기 때문에 관리면에서 조금 더 편리하고 직관적입니다.
다만, 워드프레스에서는 SEO최적화를 하기 위해서 '요스트 SEO'라는 별도의 플러그인을 활용하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