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브스팟 솔루션 구독료.. 어떻게 하면 효율적으로 진행 할 수 있을까요?
자체 CRM과 같은 내부시스템을 직접 도입해보신 분들이라면 대부분 공감하실 내용입니다.예전에는 회사 내부에 직접 서버를 설치하는 온프레미스(On-premise) 기반의 시스템을 많이 사용했는데,최근에는 SaaS(서비스형 소프트웨어) 시스템을 더 선호하는 것 같습니다. 막상 서버 운영에 들어가는 유지 및 보수 비용..그리고, 주기적으로 업데이트 해줘야 하는 보안부분까지 고려해보면 자체 시스템을 운영하는 것이 더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SaaS(서비스형 소프트웨어)라고 해서 비용이 적게 들어가는 것은 아닙니다.구독료를 기반으로 운영하는 서비스들은 대부분 초기 진입 비용은 낮지만 커스텀을 해서 사용하거나 고급기능을 사용하려면 대부분 가격이 높아집니다.이는 정기구독 기반의 대부분의 소프트웨어가 마찬가지입니다. 따라서 이번에는 허브스팟 가격 선택을 위한 노하우를 소개해보려고 합니다.
허브스팟 솔루션 가격을 소개합니다.
허브스팟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솔루션은 마케팅 허브(Marketing Hub)와 세일즈 허브(Sales Hub)입니다.마케팅 허브는 마케팅에 필요한 다양한 도구와 자동화를 구현 할 수 있고, 세일즈 허브를 활용하면 영업관리를 자동화 할 수 있습니다.이 두개의 솔루션을 가장 메인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아래의 이미지는 각각 솔루션 별 가격입니다.
<마케팅 허브 가격>아래의 이미지와 같이 허브스팟은 스타터, 프로, 엔터프라이즈 이렇게 3개의 솔루션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아래의 이미지에 프로버전은 0원으로 나와 있는데, 이는 제가 현재 프로버전의 구독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0원으로 나와 있는 것으로 2023년 현재 마케팅 허브 1개월 구독요금은 약 800달러입니다.
마케팅 허브 프로 버전의 특징은 마케팅 컨택의 수량 기반으로 요금제가 부과 된다는 것이고,스타터 요금제와 프로 요금제의 가장 큰 기능적인 차이점은 '레포트 기능'과 '마케팅 자동화' 부분입니다.
마케팅 허브 프로 버전의 특징은 마케팅 컨택의 수량 기반으로 요금제가 부과 된다는 것이고,
스타터 요금제와 프로 요금제의 가장 큰 기능적인 차이점은 '레포트 기능'과 '마케팅 자동화' 부분입니다.